연구 그룹 2-1. 민구의 명칭에 관한 기초연구
세계 각지의 보통 사람들의 생활이나 서민들의 생산활동 및 생활을 규명하는데 있어 ‘민구(民具)’는 유형의 물질 문화이기 때문에 가장 양질의 기본자료가 될 수 있다. 우리 팀의 목적은 한마디로 민구의 개념을 학술어 ‘mingu’로서 국제적으로 보급시키고 민구 연구의 진전을 꾀하는 것이다. 이를 위해서는 고고학이나 과학기술사처럼 물건에 대한 공통명칭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. ‘대바구니’를 의미하는 영단어 bamboo basket 을 예로 들자면 그 재료가 실제로는 대나무가 아닌 것이나 모양의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그림이 없으면 파악하기가 어렵다. 그리고 ‘바구니’와 ‘소쿠리’는 어떻게 다른 것인지도 논의해 볼 수 있다.
민구의 명칭확립체계의 배경에는 각 민족의 자연관과 세계관이 반영되며 또 한 지역성, 시대성, 계층성 등 다양한 특성이 첨가될 뿐만 아니라 근대화의 흐름에서는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 등, 공통명칭설정은 결코 단순하지가 않다. 먼저 민구의 정의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하여 지표가 되는 몇 가지의 민구에 대해 논의하고, 일본, 동아시아, 아시아, 중동, 유럽과의 비교대조를 통해 민구의 공통명칭화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 그 첫 번째 단계가 되겠다. 이러한 과정에는 최신 정보공학의 분류법 및 공유법도 적극적으로 도입한다. 장래에 ‘국제민구사전’이 출간되면 세계 각지의 사람들의 실생활을 이해하는데 하나의 도움이 될 것이다.
성명 | 전문분야 | 소속기관 | ||
---|---|---|---|---|
대표자 | 神野 善治 | 가미노 요시하루 | 민속학 박물관학 |
무사시노(武蔵野)미술대학 |
DL | SANO Kenji | Folklore | Kanagawa University | |
PM | GOTO Akira | Agricultural economics | Kanagawa University | |
PM | KAWANO Kazuaki | Japanese Folklore | Nampo Minzoku Bunka Kenkyujo | |
PM | KOH Kwang Min | Folklore | Mokpo National University | |
PM | KONO Michiaki |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Mingu | ISJFC Kanagawa University | |
PM | MAJIMA Shunichi | Study of living | TEM Kenkyujyo | |
PM | SASAKI Takeo | Folklore | Fukushima Museum | |
PM | UEZU Hitoshi | Folklore | Meio University, Kumejima Museum | |
PM | YAEGASHI Jyunki | Applied informatics | Shizuoka University | |
RC | ISHINO Ritsuko | The study of Mingu | Musashino Art University | |
RC | KIM Jong Gyu | Architecture |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| |
RC | NIKKUNI Isamu | Plant ecology | ||
RC | TAKAHASHI Noriko | Japanese Folklore | Kawasaki City Museum |